정부지원서비스

2025년 임산부·영유아 건강관리 지원 제도 총정리

복지 수집가 2025. 3. 29. 09:58

2025년 임산부·영유아 건강관리 지원 제도 총정리

대표텍스트이미지-임산부 영유아 건강관리 제도
임산부와 영유아를 위한 건강관리 지원제도 꿀팁

 

복지 수집가가 알려주는 건강한 출산과 육아 복지 팁!

출산율 저하와 육아 부담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정부는 임산부와 영유아를 위한 건강 지원 제도를 매년 확대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도 다양한 지원책이 새롭게 시행되거나 강화되어,

많은 가정들이 더 안정적인 출산과 양육 환경을 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임산부와 영유아를 위한 건강관리 지원 제도를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1. 임산부 건강관리 지원 제도

① 임산부 건강관리 바우처

  • 대상: 소득수준 관계없이 모든 임산부
  • 지원 금액: 1인당 60만 원 (2025년 상향)
  • 사용 용도: 산부인과 진료, 임신 관련 검사, 영양상담, 한방 진료 등
  • 사용 방식: 국민행복카드 포인트 형태로 지급, 병원·약국 등에서 결제 가능

②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 대상: 19개 고위험 질환 진단을 받은 임산부
  • 조건: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
  • 지원 내용: 본인 부담금의 최대 90%까지 (최대 300만 원)

갓난아기를 안고 바라보고있는 엄마-포커스는 아기에게 맞춰져있다
영유아 건강관리 제도 확인하세요

2. 영유아 건강관리 제도

① 영유아 건강검진

  • 대상: 생후 14일~71개월 아동 (총 7회)
  • 항목: 성장 발달, 시력·청력, 구강 검사 등
  • 비용: 전액 무료 (국가검진)

② 영양플러스 사업

  • 대상: 기준 중위소득 80% 이하 가구의 영유아 + 임산부
  • 지원 내용: 분유, 이유식, 곡류, 달걀 등 영양 식품 매월 제공
  • 신청처: 보건소 방문 또는 전화 신청

③ 아기수당 & 영아수당 (지자체별)

  • 아기수당: 생후 12개월까지 매월 20만~30만 원 현금 지급
  • 영아수당: 24개월까지 월 30만 원 지급 (보육시설 이용 여부 따라 조정)

3. 신청 방법과 준비서류

✔️ 신청처: 주소지 관할 보건소 또는 주민센터
✔️ 국민행복카드는 은행 (KB·신한·BC 등) 또는 복지로 누리집에서 신청 가능

기본 서류:

  • 산모 수첩 또는 임신 확인서
  • 신분증, 통장사본 (현금성 지원 시)
  • 건강보험증 및 소득 증빙자료 (고위험 임산부 지원 시)

실질적인 도움을 받는 꿀팁

✔️ 출산 전부터 국민행복카드를 미리 준비해두세요
✔️ 건강검진은 시기별 안내문에 따라 놓치지 않고 예약하기
✔️ 고위험 임산부인 경우, 입원 전 진단서 발급 시점부터 서류 준비하기


엄마가-아기를품에안고 누워있고-아기가클로즈업되있다
아기와 임산부 모두에게 든든한 복지혜택 챙기세요:)

건강한 아이와 행복한 부모를 위한 복지

2025년은 임산부와 아기 모두에게 든든한 복지 혜택이 더해지는 해입니다.
출산을 앞둔 가정, 육아에 힘쓰는 부모님 모두에게 꼭 필요한 정보들만 모았습니다.

이제는 정보만 잘 알아도 큰 도움이 되는 시대!
복지 수집가는 앞으로도 더 많은 가정에 실질적인 정보를 전해드릴게요 🍀